직접 겪어보시면.. 아 이래서 어른들이 지방 4년제라도 나오라고 하는구나..하실겁니다 4년제와 2년제의 차이도 심각합니다. "난 그래도 이름 있는 전문대나와서 기술력을 갖추겠어!!" 라는건 꿈같은 이야기이죠~ 저는 전문대를 나왔는데, 저보다 늦게 입사한 어디에 붙어있는지도 모르는 지방 4년제 나온 놈이 이미 먼저 입사한 저보다 초봉도 높고 (2년차 제 월급보가 그놈 초봉이 높더군요), 진급도 빠르죠;; 물론 요즘 대학교가 대학생들을 빚쟁이로 만든다고 비난받을 만큼 학자금이 너무 부담스럽습니다. 때문에 신중히 생각해서 진학결정하시고(이왕이면 나와서 대접받을 수 있는) 후에 좋은 취업 하시길 바랍니다. 학자금의 부담때문에 진학을 포기하신다면 더 큰 어려움이 따를거라 생각됩니다. 회사 다니는 분들이 일 끝나고..
돈 문제는 돈을 버셔야 해결되는데. 문제는 끝을 본다는데 있는 듯 합니다. 저희집 가훈이 "당신말이 맞소" 입니다. 역지사지보다 어쩌면 더 현실적인 말일수도 있는데요. 평소에 돈 문제에 관해서 충분해 대화를 해 보세요. 부부끼리는 할말/못 할말 없이 다 해야 합니다. 비밀이 생기면 그 비밀은 더 큰 비밀로 이어지고요. 돈에관해 털어 놓고-은행잔고, 채무상태, 앞으로 벌어들이 수 있는 돈 등-다 이야기 해서 서로 공유하세요. 그럼 그 문제로 싸우실 때 바닥을 치는 일은 많이 줄으 들 듯 하네요 세상에서 가장 편하고도 불편한 관계가 가족입니다. 그래서 막말도 많이 하고 자주 싸우게 되지요.. 엄마, 아빠라고 부르는 나이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자식들이 반말을 할 겁니다. 사회에서 그 나이차에 반말하면 죽일놈 소..
청년인턴제는 본인월급이 깍이는것도 아니고 소위말하는 계약직도 아닙니다 (사실상) 일정기간동안 본인의 월급의 일정액을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겁니다. 중소기업대상으로 정부가 인원고용에 혜택을 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 자세한 내용은 본인이 직접찾아보시고, 얼마전 인원채용시에 대략적으로 확인한 내용입니다. (인사팀아닙니다...) 중소기업 청년인턴제 해 본 사람으로서 회사에서 청년인턴제 대상자를 우대 하는 건 청년인턴으로 뽑을 시에 50퍼센트인가 월급을 국가에서 주기 때문이죠. 저도 계약직으로 했다가 그렇게 해서 전환했구요. 청년인턴으로 하다가 정규직 전환시에 기업이 국가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게 있습니다. 하지만 뽑는 건 기업 마음이죠 ^^;; 월급 깎여 나오고 그런 건 없구요. 정규직 전환 여부는 회사..
상황을 개선시키기 위해선 아버지께서 본인에게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시는 것이 최우선과제인 것 같습니다. 그래야 변화를 위한 노력을 하실테니까 혹시 무한도전을 보시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예전에 무한도전에서 정신감정 특집을 한적이 있습니다. 거기에 출연하는 박명수씨 같은 경우 매우 가부장적이고 보수적인 전형적인 이 시대의 아버지상을 가지고 있었고 그에게 내린 처방은 가족끼리 서로 입장을 바꿔 행동하는 상황극이었습니다. 지금 아버지의 행동이 다른 가족들을 힘들게 하고 있다는 것을 입장을 바꿔 생각해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죠. 지금 아버지에게도 그런 비슷한 방법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버지의 행동이 가족들을 힘들게 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실 수 있도록 가족들의 입장을 아버지께 잘 설명드려보는 것이 어떨..
맘 안잡힐때.공부는 정말.도서관이 최고인 것 같습니다.^^전 지금 직장하고 대학하고 병행하고 있는데.이게 만만치가 않네요 제 교수의 말씀을 빌려서 말씀드리면.(수업중에 말씀하신 겁니다.^^)\"푼돈 벌겠다고 시간낭비하지 말고, 그 시간에 공부를 더 해.차라리 그 시간에 토익을 준비하던지 자격증을 준비해.회계사나 세무사 같은거\" 라고 하셨어요.=ㅁ=;아! 참고로 전 회계세무과랍니다.^^; 그래서 회계사나 세무사 따라고.저는회사 때려치고 공부만 할까 심각히 고민하고 있어요 ㅎㅎ지난 학기는 시험기간에 거의 잠안자고 집과 회사에서 공부했더니 장학금은 나오더라구요.(앗! 자랑질? ㅋ)이번 학기는 자꾸 시험시간에 일이 터져서 어휴. 두마리 토끼를 잡기가 너무 어려워서 하나로 올인할까 합니다.부를 열심히 안했어서 ..
학부 졸업 바로 직전 고시공부할때 젤 열심히 했던거같네요 새벽 1시~5시30분까지 딱 자고 일어나자마자 씻고 도서관가서 공부하고, 밥 따로 먹을 시간도 아까워서 도시락싸다니고 컵라면 먹으면서 공부하고 왔다갔다 하는 시간도 아까워서 자주 보면서 외워야하는거 노래처럼 만들어서 녹음한거 듣고 그랬는데;; 심지어 화장실가는 시간도 아까워서 물도 안마시고 ㅠㅠ 아침 6시부터 8시까지 아침 공부 8시부터 밥먹고 뉴스좀 보고인터넷좀하고 10시부터 점심전까지(2~3시간)점심공부 점심먹고 오침 오후에 사설읽고 3시부터 저녘전까지(3~4시간) 저녘공부 저녁먹고 세상돌아가는것좀 확인하고 10시부터 3~4시간 공부 후 취침 고3때 보통 새벽2시까지 한것 같네요..ㅎㅎ 스트레스는 새벽2시부터 4시~5시정도까지 게임하고 다음날 ..